'월간 뉴있저', 이번 달 주제는 '건강'입니다. <br /> <br />몸 건강만큼 중요한 게 바로 마음의 건강인데요. <br /> <br />최근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 청년들이 늘고 있어서, 젊은 세대의 정신 건강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울증을 앓는 청년들을 만나 어려움은 무엇이고, 우리 사회의 과제는 무엇인지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서은수 피디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PD] <br /> <br />"지나친 경쟁과 비교 때문에 이렇게 된 것 같아요. 제가 걸렸던 시기가 딱 고등학교 3학년 때라 입시로 인해서 많이 지쳤던 것 같아요." <br /> <br />"가정 내에서 경제적인 어려움이 몇 년간 지속하다 보니까 살아가는데 희망이 없다고 느꼈어요." <br /> <br />당신의 마음은 안녕한가요? <br /> <br />서울의 한 사립대에 재학 중인 김 모 씨. <br /> <br />계속되는 우울함과 고립감을 느껴 병원을 찾았다가 우울증 진단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힘들게 입시를 끝내고 대학생이 됐지만, 앞으로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될 것 같아 압박감을 느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대학생 우울증 환자 : 고등학교 때 수험생활 하면서 '조금만 더 하면 나중에는 쉴 수 있겠지, 좀 더 편하겠지'하는 마음에 열심히 했던 건데, 대학생이 되니까 더 열심히 해야 하는 상황이더라고요. 어떤 관문을 지나면 또 더 열심히 해야 하는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고. 그런 깨달음에서 오는 무력감(이 힘들었어요.)] <br /> <br />이제 막 성인이 돼 사회에 첫발을 내딛었지만, 취업 등 계속되는 경쟁과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우울증을 호소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우울증 환자 수는 93만 명. <br /> <br />이 중 34%가 20대와 30대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대 환자는 4년 사이 127%나 증가해 17만 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[백종우 /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이제 저성장 단계에 진입하면서 20대가 미래에 대한 꿈을 쉽게 꾸지 못하고 그래서 미래가 불투명한 것들이 이제 우울감을 가져오고 불안을 높이는 상황에서, 코로나 3년이라는 기간 동안 거리두기가 지속된 게 여기에 기름을 부은 그런 상황이 아닌가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김 씨 역시 학교생활과 외부 활동을 병행하면서 스트레스가 커졌고, 결국 지난해 휴학을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대학생 우울증 환자 : 진료를 받으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너무 열심히 하려고 하지 말라는 거였거든요. 머리로는 열심히 하지 말아야지 하는데 정신 차리고 보면 열심히 하고 있고, 계속 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서은수 (seoes010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1020221000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